오랜만에 작성하는 글이네요 ^^;
근 몇 년 사이 정말 많은 플러그인들이 새로 나오고 있고 하나하나가 다 너무나 강력한 플러그인들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. 게다가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사람들의 지름신을 부르고 있죠. 사용법도 그리 어렵지 않아 정말 누구나 쉽게 작곡/믹싱을 하게 끔 만들어 주기도 합니다.
몇 가지 예를 들어 볼까요?
매우 쉽게 게임 음악이나 영화 OST에 어울릴 만한 사운드를 만들어주는 Action Strings
http://www.native-instruments.com/en/products/komplete/orchestral-cinematic/action-strings/
기타를 다룰 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기타 가상 악기 GD-6
http://acousticsamples.net/gd6
피아노를 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EZ-KEYS. 각종 스타일에 음악에 어울리는 각종 피아노 주법을 대신 연주해주는 가상 악기.
http://www.toontrack.com/products.asp?item=125
아주 손쉽게 가지고 있는 트랙들을 믹싱까지 해주는 믹싱 솔류션 EZ-MIX 2
http://www.toontrack.com/products.asp?item=135
"이 플러그인 하나면 보컬 믹싱은 끝입니다" 라고 말하는 Izotope 의 Nector.
http://www.izotope.com/products/audio/nectar/
최근 조용필 님의 19집 믹스를 맡기도 했던 전세계 최고의 믹싱 엔지니어 중 한 명인 Tony Maserati. 그의 믹싱 노하우를 플러그인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Waves 사의 마세라티 플러그인.
등등. . . 어떻게 보면 참 음악하기 쉬운 세상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.
어느 커뮤니티에서 이런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.
"이런 플러그인들 때문에 아무나 음악 한다고 나대면 우리 프로 작곡가들이 설 곳이 없어져서 짜증난다"
그리고 저 글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댓글이 달리면서 열띤 토론을 펼쳤죠.
저의 생각은 저 글을 쓴 이와 조금 다릅니다.
얼마전에 프로 사진 작가의 촬영을 보게 된 적이 있었습니다.
사용하는 카메라는 그렇게 비싸 보이지 않은 캐논 DSLR 이였습니다.
그 분이 대충대충 각 잡고 사진을 찍으시는 걸 보며, 저는 속으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.
"에이.. 나보다 쓰는 렌즈만 더 좋을 뿐 솔직히 나랑 얼마나 다르겠어.."
그 후에 결과물을 보고나서는 입을 다물 수가 없었습니다. 너무나 완벽한 각도와 조명 그리고 포커스 와 입체감.. 아 역시 프로구나 라는 생각이 확 들더군요.
그분과 촬영이 끝나고 자판기 커피 한잔 마시면서 이야기 할 기회가 생겨서 물어보았습니다.
"기사님은 요즘처럼 보급형 DSLR이 많은 세상에 혹 일감이 준다 거나 아무나 사진 찍는다고 들이대서 걱정되거나 하지 않으세요?"
기사님이 말씀하시길. .
"글쎄요? 제가 10년 넘게 사진 찍고 먹고살고 있는데 찾아주는 고객의 수가 딱히 더 줄었다 거나 하지는 않는것 같아요. 오히려 사진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아마추어 분들이 많이 계시니까 아예 믿을 수 있게 고액을 페이하고 프로 기사를 찾는 분들이 더 많아진 것도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아요."
음악 시장도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.
적은 예산으로도 웬만한 홈 스튜디오를 차릴 수 있는 요즈음, 홈 레코딩, 홈 작곡가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. 위에 이야기한 대로 쉽게 음악을 접하게 할 수 있는 수많은 작곡 프로그램과 플러그인 들도 한 몫을 하고 있죠. 그 말은 즉 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이야기 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. 음악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또 그만큼 많은 음악들이 쏟아져 나온다는 건 기존의 음악가들의 시장이 줄어들고 경쟁자들이 많아진 다는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도 있지만, 한편으론 시장이 넓어지고 있다는 것 그리고 사람들의 귀도 넓어진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.
"개나 소나 음악한다고 깝치네" 가 아니라 "이제 많은 사람들이 음악을 더 좋아하고 더 관심 있어 하네" 로 받아들이는 것이죠.
기술이 발전할 때마다 걱정하는 사람들은 언제나 있었습니다.
활자 기술이 좋아져 책들이 대량으로 생산될 때 "이제 책들이 대량보급 되니 지식인들은 모두 죽겠구나" 하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결과는 그렇지 않았죠.
노트북이나 PC (Personal Computer)가 보급화가 되면서 기존의 글을 쓰는 사람들이 "아 이제 아무나 글을 쓸 수 있으니 이제 시장은 엉망진창이 되고 '진정한' 작가들은 죽겠구나" 했지만 오히려 더 좋은 글들이 세상에 나오게 되면서 문학 계는 발전했죠.
이젠 음악계가 걱정하고 있습니다.
수많은 저가 음악 장비들/소프트웨어들 그리고 몇번의 클릭으로 아예 작곡을 해주는 기술들 까지.
하지만 기술은 어디까지나 도구 입니다. 그 도구를 가지고 어떤 결과물을 뽑아내는 가는 개인의 몫이죠. 저는 이런 기술의 발전이 너무나 좋습니다. 우려할 부분이 아니라 오히려 반길 부분이 아닐까요?